콘텐츠로 이동

Nightsky

Observation - November 4, 2013

줌 쌍안경 Nikon 10-22x50 을 이용해 가을 밤하늘에 볼 수 있는 천체를 구경하였습니다. 그동안 돕으로만 보다가 돕을 팔아버린터라 볼 수 있는 것이 거의 없어서 고향에서 굴러다니는 쌍안경을 가지고 와서 보았습니다. 쌍안경이 줌 쌍안경이라 약간 어두울 것이라고는 생각했지만 이번 관측에서 너무 어두워서 대상을 잘 관측하기 힘들 정도였습니다. 그나마 쌍안경으로 볼만한 천체들만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좋은 관측은 아니였습니다.

Melotte 20

Melotte 20 : Taki 성도

오늘의 큰 수확이라고 할 수 있는 Melotte 20 입니다. Perseus 자리의 Mirfak 별을 중심으로 하는 산개성단이 모여있는 지역을 일컫습니다. 찾기도 무척이나 쉬웠습니다. 페르세우스 자리를 알고 있다면 그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을 찾고 쌍안경으로 보면 됩니다.

찾기가 무척이나 쉽다고 볼품이 없는 것도 아닙니다. 쌍안경으로 보면 Mirfak 별이 끄트머리에 걸쳐있고 알록달록 별들이 촘촘하게 반짝입니다. 같은 페르세우스 자리에 있는 유명한 이중성단( [NGC 869][] & [NGC 884][] ) 보다도 더 볼만합니다.

Perseus Double Cluster

Perseus Double Cluster

[Mel 20][] 의 압도적인 크기에 놀라서 보다가 Perseus Double Cluster를 보면 조금은 감흥이 떨어집니다. 일단은 제가 가진 줌 쌍안경이 좀 어두웠기 때문에 이중성단의 자세한 내부가 잘 안보였습니다. 예전에 돕소니언으로 관측했을 때에는 아이피스를 가득 채우는 멋진 성단인데 10배 배율의 쌍안경으로는 그다지 멋진 모습은 아니었습니다. 25x100이나 20x80 쌍안경으로는 멋진 모습을 보여줄 것 같습니다.

Pleiades Cluster (M45)

10배 배율의 쌍안경을 가득 채우는 모습이 멋졌습니다. 밤하늘에 밝게 빛나기에 찾기도 쉽고 내부에 보이는 밝고 어두운 별들이 한데 어우러져 밤하늘의 보석이 무엇인지 잘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기존에 스쳐지나가며 볼 때에는 물음표 모양의 별들만 보았었는데 이번에 쌍안경으로 자세히 보니 그 안에 조금 어두운 별들이 무척이나 많았습니다.

Observation - October 2, 2013

'삼각형'님의 스카이워쳐 12인치를 곁눈질 하였다. 큰아들 덕분에 몇분 못보고 바로 철수.

NGC6992 베일성운(동)

12인치 + 필터의 위력을 실감했다. 베일성운이 보이는 것도 모잘라서 그 모양이 아주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었다. 그것도 용인축구센터라는 그다지 좋지 못한 관측지에서.. 예전 10인치로 공림사에서 시도했을 때도 있는지 없는지 확인이 잘 안되는 수준이었는데 깜짝 놀랐다.

Messier 31 안드로메다 은하

이건 뭐 거의 그냥 깡패수준. 아주 선명하게 암흑대까지 보인다. 12인치 가지고 싶다...

Observation - October 2, 2011

며칠전부터 별 보고싶어서 벼르다가 초가집님이 벗고개 가신다길래 낼름 가서 관측 했습니다. 유클리드님이랑 안희성님과 아드님이 왔습니다.

벗고개 도착하니 남천은 구름이 가득하더군요. 낮에 구름이 꽤있어서 각오했는데 그래도 북천은 열려있어서 나쁘지 않았습니다. 시간이 지나니 구름이 점점 없어지며 완전히 뚫렸습니다.

환호를지르며 이것저것 마구마구 찾아봤습니다. 초보라서 많이 보는게 좋은거니 성도에서 메시에 위주로 찾아봤습니다. 이번 관측의 큰 수확은 고리성운이 푸른 녹색기운이 감돌정도로 영롱하게 보였다는 것과 드디어 m33의 나선팔을 분간해 내게되었다는점입니다. 안시도 보는만큼 느나 봅니다. 말머리성운은 못봤지만 그옆의 2024는 제 눈에도 또렸이 보이더군요. 너무 볼게 많아서 고민이되는 그런 관측이었습니다.

메시에는 1 2 15 27 29 31 32 33 34 36 37 38 42 43 45 57 72 73 76 78 101 103 110 보았고, 이중성단 2024 65X시리즈(M103옆에 있는) 등 정신없이 보고 또 봤던 것 같습니다.

Observation - First Light of Meade 14mm

관측은 거의 3개월만에 나가보네요.

디노님 관측 문자를 받고 졸업도 끝났겠다 해서 냅다 공림사로 달렸습니다. 갑자기 받은 문자라 뭘 봐야 할지 정하지도 못하고 그냥 포켓 스카이 아틀라스 책자 하나 달랑 들고 갔습니다.

8시 20분쯤 되어서 공림사에 도착하니 디노님이 8인치 돕을 이미 펼쳐놓고 계시더군요. 제가 2번째로 도착했습니다. 또한 제가 마지막이었습니다. 방한을 위해 보드 부츠로 갈아신고 보드복 바지도 입고 밖으로 나와 돕을 꺼내니 하늘이 꽤 좋습니다. 눈 가득한 공림사인데 별 자체는 투명하게 잘 보입니다. 이전 10월즈음에 왔을때 보다 더 좋은 것 같네요.

기온도 적절합니다. 그다지 춥게 느껴지지 않네요.

오늘은 미드 4000 14mm 를 처음으로 개시하는 날입니다. 설레는 마음으로 커피 한캔 마시고 광축좀 조절해주고 (어서 빨리 호텍 레콜을 사야겠습니다. 매번 디노님께 부탁하는것도 미안한 마음이네요) ( 광축 조절 노브를 큼직한 걸로 바꿨는데 참 만족스럽습니다. 쉽게 쉽게 조절 할 수 있어서 참 좋아요.) 광축 조절좀 하고 바로 오리온 대성운(m42, m43)을 겨냥했습니다.

안보입니다.

있긴 한데 완전 번지는 별빛에 실망 가득합니다.

"냉각 시켜야 되요." 라는 디노님 말에, 한 30분 이상을 이리 저리 이야기하면서 놀았습니다. 이전엔 냉각 신경을 안 썼는데, 겨울이라 냉각이 필요하네요. 충분히 냉각은 안되었지만 그래도 냅다 관측 시작.

이번에 관측한건 어림잡아 m42, m43. m40. m108. m97. m46. m47. NGC 2423. m1, m44, m35, m78 정도 였던것 같습니다. 오리온 대성운이야 사진으로 본 터라 멋지게 나오리라 생각하고 보았지만 정말 멋지게 나오더군요. 선명한 날개나 암흑대, 그리고 트라페지움까지 확연히 구분되는 모습이 장관이었습니다. 제 눈이 난시가 좀 있어서 트라페지움은 4개까지밖에 구별이 안되더군요.

다른 멋진 모습은 m35 산개성단이었습니다. 접안렌즈를 가득 채우는 별빛이 무척 아름다웠습니다. 반짝반짝하는게 진짜 탄성이 절로 나오더군요. 이것에 비하면 m46, m47, ngc 2423은 그냥 비교가 안될 정도입니다.
반사 성운 m78은 혜성과 비슷해 보인다고 하여 보았는데 사진으로 보는 혜성 모습과는 다르더군요. 좀 더 좌우로 퍼져있는 듯 해 보였습니다. 가운데 핵부분같은 별 2가 확인되는 모습이었습니다.

그 외에 나선은하 m108도 은하 핵이 보이면서 길쭉한게 괜찮았고, 올빼미 성운은 그냥 동그란 별다른 특징이 잘 보이지 않는 성운이라 나중에 다시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m40이중성은 이게 메시에 목록인가.. 싶을 정도로 별반 특징 없는 모습이었고, 게 성운(m1)은 제 보는 실력이 그닥이라 S자 모양을 그린다고 하는데 전혀 확인이 안되어서 다시 도전해 봐야할 대상입니다.

보다가 차에 들어가 몸을 녹이고 나오니 영하 16도.. 많이 추워졌습니다. 조금 보고 m38을 찾으려 하는데 구름이 몰려와 하늘을 가려버려서 결국 12시 조금 넘겨 철수했습니다.

그래도 미드 14mm 아이피스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어서 좋았던것 같네요. 방한장비는 좀 더 마련을 해야 할 듯 합니다. 보드 부츠로는 한계가 있더라구요. 노스페이스 맥머도에 눈독 들이고 있습니다.^^

Observation - October 6, 2010

번개나간 최초로 날씨가 좋아서 정말 여러개를 보면서 시간 가는 줄 몰랐습니다. 처음엔 신정리가려고 했는데 주차장 들어가는 임도가 막혀있어서 별방유스타운에서 다른분들 기다리면서 M27, M57, M15, M56정도 보면서 시간 때웠습니다. 그리곤 곧바로 공림사로 달려가서 공림사에서 관측을 시작했습니다.

이전에 보았던 M27, M56, M15등보다는 새로 본 것 위주로 적겠습니다.

Andromeda Galaxy (M31, M32, M110)

안드로메다 은하는 이전 공주에서도 보았지만 이번에 보았을 때는 정말 접안렌즈를 가득채우는 그 크기에 입이 쩍 벌어졌습니다. 찾아가는것은... 맨눈으로 하늘에서 안드로메다은하가 보였기 때문에 별반문제 없이 바로 겨냥하여 보았습니다. M32도 확실하게 알 수 있을 정도였고, M110도 선명하게 보일정도였습니다. 은하의 중심 핵이 정말 선명했고 그 주변으로 옅은 성운기가 넓게 펼쳐져있었습니다. 암흑대가 보인다곤 하는데 희미하게 성운기가 잘려나간듯이 느껴지긴 했지만, 혼자만의 착각같기도 합니다. ^^

Wild Duck Cluster (M11)

M11 Wild Duck Cluster는 청주의 광해속에 숨어있었습니다. 더 넘어가기전에 어서 보라는 디노님의 재촉에 얼른 겨냥해서 보았습니다. Aquila 자리 머리부분에서 시작해서 쉽게 찾아갈 수 있었습니다. 머리부분에 해당하는 별 두개가 밝게 빛나고 m11이 오리의 몸통이 되어서 날아가는 오리 모양을 만들어내고 있었습니다.

완전 신났습니다. 망원경 성능을 제대로 끌어내면서 관측하는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그냥 보는 것 만으로도 재밌네요.

Perseus Double Cluster (NGC884 & NGC869)

그리곤 Perseus Double Cluster (NGC884 & NGC869)를 보았는데, 이건 하늘에 맨눈으로도 보이는 녀석이라 찾고 자시고 할것도 없이 바로 직사. 성엽님에게 빌린 22mm도 차고 넘쳐서 30mm를 끼우고 보아도 두개가 한눈에 안들어오는 거대한 녀석이었습니다. 자글자글한 별들이 정말 아름답게 빛나고 있었습니다. 구상성단은 보면 그놈이 그놈 같고 이래저래크기만 다르고 비슷해보이는데 반해, 산개성단은 각각이 다른 별 모양을 지니면서 각각의 특색이 있었습니다. 앞으로 산개성단 중심으로 봐야겠습니다 ^^

Owl Cluster (NGC457)

다음은 올빼미 성단, 우리에겐 ET성단으로 잘 알려져 있다고 하는데, 왜 그런진 보면 안다고 하는 디노님 말에 바로 겨냥해보았습니다. NGC457 Owl Cluster는 시작을 Cassiopeia에서 시작했습니다. 카시오페아 Ruchbah(δ)에서 위쪽, 그러니까 어제에서는 파인더상 아래쪽으로 진행하면 파인더 하나 크기보다 약간 작게 움직이면 별 무리가 보이는데, 그곳에 접안렌즈를 통해 보니, 정말 ET가 있습니다. 두 눈은 밝게 빛나고 그 좌,우로 길게 늘어선 별들이 흡사 ET의 긴 팔을 연상케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중심부 몸통에는 산개성단의 별들이 잘개 분해되어 보이고 있었습니다. 별들 가운데 하나가 붉은 별이라 밋밋함이 없이 재밌는 모습이었습니다.

Messier 33

그리곤 디노님이 "조금은 어렵겠지만... M33" 이라고 ... ;; M33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결론은? 못찾았습니다, 시작을 Pisces자리의 삼각형 별에서 시작해서 91번, υ, τ별을 잇는 삼각형을 찾고 진행했는데 못찾았습니다. 디노님이 찾아주어서 보았는데, 이게 은하가 맞는건지... 싶습니다. 핵이 보이긴 하는데 안드로메다에 비하면 정말 작고 희미한 모습입니다. 위치를 확인후 제가 다시 찾아갔습니다. Pisces에서 시작해서 아까 그 삼각형을 찾으면 91번별이 꼭지가 되어지는 평행사변형 모습의 사각형 별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91번별의 반대쪽 두 별을 보면 그 옆으로 별이 하나 더 있어서 그 3개가 삼각형을 이룹니다. 이것을 원의 점이라고 생각하면 그 둘레의 반대편에 M33이 있습니다. 다시 찾아서 보긴하는데, 찾은 수고에 비하면 보는 재미가 그리 크진 않습니다. 사진상으로는 멋들어진 나선팔이 장관인 은하였는데요. ^^

Messier 103

그리곤 M103, 오늘은 카시오페아 근처 섭렵하기 모드입니다. ^^ M103은 Ruchbah 별에서 어제 당시, 파인더상 위쪽에 보면 별 3개가 나란히 보입니다. 그 3개의 별을 있는 길을 따라 오른쪽 위로 진행하면 M103이 보입니다. 이녀석은 특징이 큰 삼각형과 그 내부의 자글자글한 별들입니다. 큰 삼각형이 m103을 감싸고 그 내부에 밝은 별 십수개정도가 있는데 그중 하나만 유달리 붉은 색이라 참 곱습니다. 그런데, 옆에 있는 ngc663에 비하면, 이게 메시에로 들어간게 의아해집니다. 아마도 붉은별 때문에 넣은걸까요..

NGC 663

ngc663은 m103에 비해 더 크고 더 화려합니다. m103에서 좀더 위쪽으로 진행하면 밝은 별 3개가 삼각형모양을 이루고 있는데 그 주위로 ngc663, ngc654, ngc659가 있습니다.

Messier 52

마지막으로 M52를 보았는데, 디노님은 이게 파인더상으로 보인다는데 전 보이질 않아서 힘들게 찾았습니다. 카시오페아 Schedar(α)와 Caph(β)를 잇는 선을 연장해서 그 두 별사이 거리만큼 나아가면 M52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꽤 먼거리라 파인더로 호핑으로 건너가기엔 시간이 몽창 걸릴 것 같아 그냥 스위핑으로 훑어 찾았습니다.

파인더에서 보일정도로 밝은 별이라면 꽤 괜찮아 보여야 하는데 제 망원경으로 본 m52는 어두워도 너무 어둡더군요. 같은 접안렌즈를 사용해서 디노님 돕에서 보면 선명하게 밝게 보이는데 반해 10인치가 무색할 정도로 어두웠습니다. 다른 성단, 은하 볼때는 느끼지 못했는데 유달리 이녀석이 그러네요. 아마 주경이 썩 좋은 상태는 아닌가 봅니다. 한번 미러 청소하고 다시 시도해 봐야겠네요.

어제 본 것은 이정도입니다. 정말 2시간 반이 지나가는지도 모르고 신나게 보고 신나게 찾았습니다. 계속 이런하늘이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드네요. ^^